질문하는 김영배 의원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틀 뒤인 12월 5일 당시 외교부 장관 명의로 주미대사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입장을 미국 백악관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 당선인에게 설명할 것을 요청하는 공문이 전달됐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은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의혹을 제기하며, "제보를 확인해보니 사실 같다"고 말했습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 같은 내용을 보고 받았느냐'는 김 의원의 질문에 "예"라고 답했습니다.
김 의원은 "공문은 총 두 장으로, 한 장은 설명 요지이고 한 장은 트럼프 측에 대한 추가 설명 요지"라며 "발신은 외교부 장관으로 돼 있고 수신은 주미대사로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설명 요지 공문에는 '국회는 22건의 정부 관료 탄핵 소추를 발의하고 판사를 겁박하고 검사를 탄핵해 사법 업무를 마비시켰다', '윤 대통령은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신념에 따라 헌법의 테두리 내에서 정치적 시위를 한 것이고 헌법 규정에 따라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조치를 취했다' 등의 입장이 담겼다고 김 의원은 전했습니다.
김 의원은 "결재 라인에는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과 신원식 전 국가안보실장까지 돼 있다"며 "제2의 내란을 획책하지 않았는가 하는 유력한 근거로 본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명백히 12월 4일 새벽에 국회가 계엄을 해제했음에도 대통령실과 외교부가 공문으로 미국 정부, 그것도 신정부까지도 보냈다는 건 명백하게 내란을 지속하겠다고 하는 것 외에 뭐겠느냐"며 "민정수석실에서 즉시 조사하고 특검에 넘겨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영배 의원실은 미국 측의 답변도 왔다고 전하면서도 그 내용은 따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주희(ge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