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배팅법맥도날드[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심해진 인플레이션 흐름에 관세 여파까지 겹치면서 미국 내 소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는 현지시간 16일 맥도날드·델타항공·호텔 체인 등의 매출 실적과 연체율 자료를 토대로 최근 소비 동향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소비 양극화 논란을 촉발한 것은 지난 8월 발표된 맥도날드의 2분기 실적 결과였습니다.

맥도날드 2분기 매출(68억 4천만 달러)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 늘었지만, 주 고객층인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은 두 자릿수 비율의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고소득층 방문은 저소득층 방문이 줄어든 만큼 늘었고, 중산층 고객의 방문은 미미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맥도날드 제품의 급격한 가격 인상 탓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맥도날드 메뉴의 평균 가격은 2019∼2024년 40% 올랐습니다.

메뉴별로 보면 빅맥 평균가는 이 기간 4.39달러에서 5.29달러로 올랐습니다.

코로나19 때 전 세계적으로 풀린 유동성이 물가를 밀어 올리는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추가 악재가 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오른 미국 기준금리도 저소득층의 구매력을 위축시킨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신용점수 모델링 업체인 밴티지스코어가 2020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60일 이상 연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 소득 4만 5천 달러 미만 가구의 연체율은 팬데믹 이후 급증한 뒤 2022년 이후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높은 주거비 부담은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밖에 델타항공의 2분기 일반석 매출은 1년 전보다 5% 줄었지만, 프리미엄 좌석 판매는 5% 늘었습니다.

포시즌스·리츠칼튼 등 고급 호텔 브랜드의 올해 매출은 최근까지 2.9% 늘어났지만, 저가 호텔 매출은 같은 기간 3.1%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