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동 철거민 추모…"이주민 보호대책 시급"

[앵커]

빈집을 전전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아현동 철거민 고 박준경씨 추모제가 열렸습니다.

이같은 비극을 더이상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재건축 세입자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 아현동의 한 재건축 예정지역.

집집마다 가재도구들이 널부러져 있고, 골목길엔 깨진 유리조각이 흩어져 있습니다.

지난 4일 재건축에 반대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 박준경 씨가 살던 곳입니다.

박씨가 숨진 지 열흘이 지난 15일 이곳에서는 박씨를 기리는 추모제가 열렸습니다.

재건축으로 터전을 잃은 철거민은 비단 박씨만이 아닙니다.

<이광남 / 아현2구역 철거민 대책위원장> "시행사의 돈놀이에 좌지우지 돼서 어쩔 수 없이 쫓겨나거나 치열하게 생존 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갈곳이나 머무를 곳 없어…"

공공 영역인 재개발에 비해 민간 사업이 대부분인 재건축의 경우 특히 세입자 보호에 취약합니다.

재개발 지역 세입자들은 주거대책비나 임대주택을 받지만, 재건축 세입자들은 주택임대차계약에 따라 개별 처리됩니다.

<이원호 / 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 "재개발과 재건축의 경계가 모호한 재건축 지역이거든요. 이런 곳에는 법적인 세입자 대책조차 마련돼있지 않아…"

토지가 강제수용되면 사실상 제대로 보상도 받지 못한 채 쫓겨나는 것입니다.

지난 5년간 토지강제수용은 매해 수천건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공익성을 인정받은 사업은 불과 49건.

강제수용으로 집을 잃거나 재산 피해를 입은 이들은 지난 10년간 280여만명에 달합니다.

재건축을 둘러싼 비극을 막기 위해서는 임대주택 지원 등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단 목소리가 높습니다.

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