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명의 사상자를 낸 신안산선 광명 구간 붕괴 사고가 발생한지 약 한 달이 지났습니다.

현재까지도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피해는 오롯이 광명시가 입었지만 꽁 머니 카지노 3 만 평상시 공사현장 안전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조차 없어 즉각 대응을 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11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의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50대 근로자 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과 국토부 등 관계 기관은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현장이 위치한 광명시는 550억 원의 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사고 발생 전까지 공사 진행 상황조차 보고받지 못했습니다.

현행 철도지하화 통합 개발법에는 시민 안전과 관련해 지자체 개입 규정이 전무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꽁 머니 카지노 3 만 공사 설계나 안전 관리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없습니다.

사고가 발생하기 불과 수시간 전까지도 붕괴 사고 우려가 없다는 현장 관계자들의 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공사 관계자 "일부 변형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토사 유출이라든지 이런 부분이 없기 때문에 노파심에라도 흔히 얘기하는 지반 함몰이라든지."

광명시는 그동안 공사 설계조차 알 수 없었던 만큼 국토부 주도의 사고조사위원회와 별도로 자체적인 시민안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 분석에 나섰습니다.

<박승원 / 광명시장 "신안산선 광명 구역에 대한 시민 대표 그리고 전문가들을 모아서 대책위를 구성하고 광명 구간에 대한 안전 진단 그리고 사고 예방을 위해서 더욱 노력해 나갈 생각입니다."

시는 또 제2의 신안산선 붕괴사고를 막기 위해 앞으로 지하 공사에서 지자체가 안전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촉구한다는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위유섭]

[영상편집 이애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