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정부가 '4대강 재자연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녹조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목표인데요.

다만 추진 방식을 두고 해당 지역에서는 다양한 찬반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준 기자입니다.

[기자]

여름만 되면 녹조로 시름하는 낙동강 일대입니다.

올해 이곳엔 9년 만에 처음으로 '5월 조류경보'가 발령된데다 가을에 접어든 뒤에도 유해 남조류가 오히려 증가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이어졌습니다.

녹조가 수질 오염과 농작물 피해를 유발하고 공기 중 조류독소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주장까지 제기되면서 일대 주민들의 불안감이 큰 상황.

이에 이재명 정부는 '4대강 재자연화'를 국정 과제로 내세웠습니다.

<김성환 /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14일) “이재명 정부 5년 이내에 우리 국민이 4대강에서의 녹조 문제 때문에 걱정하는 일은 없도록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그런데 녹조 문제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립니다.

환경단체를 중심으로는 4대강 사업 당시 설치된 보를 개방 또는 해체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가 유속을 느려지게 만들어 녹조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는 겁니다.

보 해체에 따른 농업용수 부족, 지하수 고갈 등에 대비해 취·양수시설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임희자 /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 "수문을 개방하고 그리고 보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사전에 철저한 점검을 통해서…"

반면 현 정부의 4대강 재자연화 자체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습니다.

보 설치 이후 홍수 저감과 용수 확보 효과를 확실히 체감하고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강헌수 / 창녕군농업인단체장협의회 회장 "지금까지는 사실은 우리 농민들 입장에선 피해보다는 득이 훨씬 많다는 입장입니다. 이미 돈 들여서 해 놓은 걸 해체하는 데 또 돈이 들지 않습니까."

기후부는 지역 협의를 거쳐 농업용수를 사용하지 않는 비영농기에 보 개방을 확대하고, 그에 따른 농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우물관을 설치할 방침입니다.

연합사설 카지노TV 하준입니다. (hajun@yna.co.kr)

[영상취재 김완기]

연합사설 카지노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사설 카지노입니다!

ⓒ연합사설 카지노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