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철강 50% 고율 관세로 철강 산업 위기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철강 공급 과잉 품목에 대해 선제적으로 설비 규모 조정에 착수합니다.
산업통상부는 오늘(4일) 경제장관회의에서 "더 이상 범용재 경쟁력만으로는 철강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공급과잉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수입재 침투율이 낮은 철근에 대해 설비 규모 조정에 중점 착수합니다.
필요시에는 국회 협의를 거쳐 '철강 특별법' 등 대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또 특수탄소강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지원을 통해 기술력과 생산 기반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산업통상부는 오늘(4일) 경제장관회의에서 "더 이상 범용재 경쟁력만으로는 철강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공급과잉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수입재 침투율이 낮은 철근에 대해 설비 규모 조정에 중점 착수합니다.
필요시에는 국회 협의를 거쳐 '철강 특별법' 등 대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또 특수탄소강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지원을 통해 기술력과 생산 기반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