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거리 녹조, 바이오 연료로 변신
[생생 네트워크]
[앵커]
전국의 강과 호수가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를 비롯한 미세조류들을 자원화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윤덕 기자입니다.
[기자]
4대강 곳곳이 연둣빛으로 변했습니다.
계속된 폭염에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식수원을 위협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연구실에서는 남조류를 포함한 미세조류가 비행기나 자동차 연료로 변신했습니다.
미세조류에 빛을 쪼이며 열흘 가까이 배양해 바이오 항공유나 디젤을 생산한 것입니다.
현재는 미세조류 1t으로 바이오 연료 220ℓ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장용근 / 카이스트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장>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하면서 자라는 과정에서 몸 안에 기름을 상당량 축적합니다. 성장속도도 빠른 데다 많은 기름을 축적하기 때문에 바이오 연료 생산에 아주 적합합니다."
하수 처리를 위해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전기비용도 미세조류를 이용하면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창주 / 특허청 자원재생심사팀 사무관> "조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뱉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런 조류의 특성을 이용하면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고 화석연료 사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세조류를 자원화하는 특허 출원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2006년 1건이던 특허출원이 2009년 30건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11년 이후에는 연평균 50건 안팎에 이르고 있습니다.
골칫거리 조류가 우리 생활을 이롭게 할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윤덕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생생 네트워크]
[앵커]
전국의 강과 호수가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를 비롯한 미세조류들을 자원화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윤덕 기자입니다.
[기자]
4대강 곳곳이 연둣빛으로 변했습니다.
계속된 폭염에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식수원을 위협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연구실에서는 남조류를 포함한 미세조류가 비행기나 자동차 연료로 변신했습니다.
미세조류에 빛을 쪼이며 열흘 가까이 배양해 바이오 항공유나 디젤을 생산한 것입니다.
현재는 미세조류 1t으로 바이오 연료 220ℓ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장용근 / 카이스트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장>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하면서 자라는 과정에서 몸 안에 기름을 상당량 축적합니다. 성장속도도 빠른 데다 많은 기름을 축적하기 때문에 바이오 연료 생산에 아주 적합합니다."
하수 처리를 위해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전기비용도 미세조류를 이용하면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창주 / 특허청 자원재생심사팀 사무관> "조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뱉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런 조류의 특성을 이용하면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고 화석연료 사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세조류를 자원화하는 특허 출원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2006년 1건이던 특허출원이 2009년 30건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11년 이후에는 연평균 50건 안팎에 이르고 있습니다.
골칫거리 조류가 우리 생활을 이롭게 할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윤덕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