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디지털 이미지 위·변조 식별 서비스 <대전>
[생생 네트워크]
한국과학기술원 이흥규 교수팀이 눈으로 판단이 어려운 디지털 이미지의 위조나 변조를 식별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기존 이미지 조작 식별 서비스는 이미지 수정 프로그램의 다양한 수정 방식을 모두 잡아내기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 교수팀은 이미지 내부에 가해진 통계적 특성 변화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의 탐지 방식을 구축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이미지의 무결성 확인이 필요한 법원과 의료,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생생 네트워크]
한국과학기술원 이흥규 교수팀이 눈으로 판단이 어려운 디지털 이미지의 위조나 변조를 식별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기존 이미지 조작 식별 서비스는 이미지 수정 프로그램의 다양한 수정 방식을 모두 잡아내기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 교수팀은 이미지 내부에 가해진 통계적 특성 변화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의 탐지 방식을 구축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이미지의 무결성 확인이 필요한 법원과 의료,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